2000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의 통화량 변화
한국의 통화량(M2)은 2000년부터 2023년까지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통화량 증가는 경제 성장, 저금리 정책, 정부의 재정 지출 확대, 자산 가격 상승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아래 표는 2000년부터 2023년까지의 연도별 통화량(M2)을 나타냅니다.
연도별 통화량 (조 원)
연도 | 통화량 (조 원) |
---|---|
2000 | 628.2 |
2001 | 650.5 |
2002 | 674.9 |
2003 | 702.1 |
2004 | 734.8 |
2005 | 773.9 |
2006 | 814.2 |
2007 | 859.4 |
2008 | 906.7 |
2009 | 951.3 |
2010 | 1002.5 |
2011 | 1065.3 |
2012 | 1141.9 |
2013 | 1225.8 |
2014 | 1315.4 |
2015 | 1408.1 |
2016 | 1497.2 |
2017 | 1593.8 |
2018 | 1713.5 |
2019 | 1851.6 |
2020 | 1982.9 |
2021 | 2135.7 |
2022 | 2320.8 |
2023 | 2534.6 |
한국의 통화량 그래프
아래 그래프는 한국의 통화량이 2000년부터 2023년까지 통화량 그래프입니다.
왜 통화량이 증가했을까?
통화량의 증가는 여러 경제적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다음은 주요 원인입니다.
- 경제 성장, 통화 정책,저금리 기조,정부의 재정 지출,자산 가격 상승